2011년 10월 8일 토요일

시맨틱 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맨틱 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via Blog this'

Internet2

Internet2: 인터넷2(Internet2)는 향상된 인터넷을 개발하기 위한 비영리 대학연합 연구망이다. ('Internet2'는 그에 대한 등록상표이다.)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 연구망으로서, 212개의 대학이 주도하고 있으며, 고속 대역폭의 인터넷 응용시스템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구조를 제공한다.

'via Blog this'

2011년 9월 29일 목요일

교육 2.0의 도구와 내용

<표 > 교육 2.0의 도구와 내용
교육 2.0의 도구
교육 2.0의 내용
사이트
Wiki Space
집단의 지성은 전문가의 지식을 앞도하며 협력하는 과정을 배우는데 유용
http://en.wikipedia.org/
iTunes
일상생활의 MP3 플레이어 등으로 교육정보를 신디케이션
www.apple.com/itunes/
Slideshare
발표자료의 위키피디아
www.slideshare.net
Bubbleshare
ArtWork의 공유
www.bubbleshare.com
Libribox
무료로 책을 다운로드받아 읽거나 볼 수 있는 다양한 Podcasting 제공
http://librivox.org
Grazr
RSS를 위젯 형식으로 제공받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자에게 제공
www.grazr.com/
Odeo
Podcasts을 제작 및 저장하여 활용
http://odeo.com/
Google Notebook
텀 페이퍼 작성에 활용
http://www.google.com/notebook/
NewsMap
뉴스를 읽는 새로운 방식 제공
http://marumushi.com/apps/newsmap/index.cfm
TeacherTube
교육을 목적으로 제작된 다양한 UCC
www.teachertube.com/
meebo Me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젯 형태로 활용
www.meebo.com/

Wikiversity

Wikiversity:

'via Blog this'

21세기 학습자을 위한 이야기 :: 마음까지 연결하는 협업 도구 위키를 활용한 협업 노하우

21세기 학습자을 위한 이야기 :: 마음까지 연결하는 협업 도구 위키를 활용한 협업 노하우:

'via Blog this'

2011년 9월 23일 금요일

집단지성의 작동원리

집단지성의 작동원리는 4가지의 질문에서 출발한다.

1. Who is performing the task?

2. Why are they doing it?

3. What is being accomplished?

4. How is it being done?


집단지성의 4가지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다음과 같다.

1. Who is performing the task?

Hierarchy라는 수직적인 커뮤니케이션 그룹과 Crowd라는 수평적인 커뮤니케이션 그룹이다.

2. Why are they doing it?

(1) Money
이것은 참여자들에 대한 금전적 보상(직접/간접) 혹은 자기계발에 대한 동기부여이다.

(2) Love
사람은 돈으로만 움직이지 않는다. 참여자 개인의 일에 대한 즐거움 혹은 사람들과의 교류
그리고 대의명분을 통한 동기부여이다.

(3) Glory
참여자 자신이 속한 그룹속에서 동료로부터의 인정 또는 개인적 명예를 통한 동기부여이다.

3. What is being accomplished?
집단지성과 협업을 통해 할 수 있는 것은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특별히, 집단지성은 개인의 힘으로 도저히 할 수 없는 일들을 집단지성을 통해 풀어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 M.I.T집단지성 연구소의 연구논문들은 기상이변;이상기후에 대해 집단지성의 힘을 빌어 해결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4. How is it being done?
Create-Decide; 집단지성의 기본적인 작동원리는 창조하는 것과 결정하는 것이다.

창조는 Collection/Contest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인의 작업이 하나씩 모여 Collaboration이 되는 것이다.



추가로 Decide에는 Group Decisions과  Individual Decisions이 있다.

Group Decisions의 과정은 Voting과 Consensus 그리고 Averaging을 통해 이루어지고,

그 결과로 Prediction market이 가능하다.

Individual Decisions의 과정은 Markets과 Social Networks로 이루어진다.

Markets은 앞서 언급은 Money적 동기부여를 의미하고

Social Networks는 Love와 Glory적 동기부여를 의미한다.

2011년 9월 21일 수요일

PNU Googlers study 목차

Chapter 1

구글 가입

구글크롬

-설치

-이용방법

-어플: 구글 익스텐션, 구글 앱스토어

-모바일

----------------------매 Chapter 마다 틈틈히...+a

igoogle

구글툴바

피카사

구글그룹스

구글데스크탑

버즈

구글실험실

--------------------------------------------------

Chapter 2

구글메일:Gmail

구글캘린더

구글문서:Google docs

-------------------------------------------------

Chapter 3

구글검색

구글번역

구글리더:RSS

구글어스

구글토크

----------------------------------------------------

Chapter 4

구글사이트도구

-----------------------------------------------------

Chapter 5

구글 앱스

-시작하기

-커뮤니케이션: 메일, 필터링, 주소록, 구글토크, 구글캘린더

-업무: 구글문서-문서도구,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도구

-사이트도구

-모바일

-기타서비스, 마켓플레이스, 도메인관리

Harnessing Crowds: Mapping the Genome of Collective Intelligence

Harnessing Crowds: Mapping the Genome of Collective Intelligence
Organizational genes: The building blocks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e gen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Who? and Why?
Hierarchy
Crowd.
Money.
Love.
Glory.
What? and How?
Create.
Decide.
Collection.
Collaboration
Group Decision.
Voting.
Consensus.
Averaging.
Prediction markets.
Individual Decisions.
Markets.
Social Networks.
From genes to genomes
Linux
Wikipedia
Comparing the InnoCentive and Threadless genomes
Which gene in which situation?
When the Crowd gene is useful
Which motivational levers?
Collection, Contest, or Collaboration?
Group vs. Individual Decisions
Conclusion

2011년 9월 16일 금요일

집단지성, 우리 기업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 T bizpoint Blog : 중소기업 동반성장 프로젝트

집단지성, 우리 기업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 T bizpoint Blog : 중소기업 동반성장 프로젝트:

'via Blog this'

오가네 »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We-Think)

오가네 »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We-Think):

'via Blog this'

집단지성에 대한 참고자료

피에르 레비: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이 우리의 지식을 상호적으로 만들어 집단지성이 형성 될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의 상호 연결과 실시간 역동성으로 인해 참여자들이 동일한 맥락이나 생생하고 거대한 공동의 하이퍼텍스트를 공유 할 수 있게 되었다.
사이버 공간에서 지식과 정보가 자유롭게 분배되고 상호 교환됨으로써 집단지성으로 인해 획일적 전체성보다 특이성이나 새로운 보편성들이 부상함으로써 미래 인류 사회를 위한 실시간 민주주의, 더 나아가 새로운 휴머니즘을 선언
인식하고 기억하고 학습하고 상상하고 추론하는 능력 전체를 지성이라고 한다.
집단지성은 어디에나 분포하며, 지속적으로 가치가 부여되고, 실시간으로 조정되며, 역량의 실제적인 동원에 이르는 지성이다.
집단지성의 토대와 목적은 인간들이 서로를 인정하며 함께 풍요로워지는것이지 물신화되거나 신격화된 공동체 숭배가 아니다.
공간의 문제-공간이 새로운 지식의 주체를 태동하는 모태
인류학적으로 지구, 영토, 상품, 지식 - 네가지의 공간 범주
우리의 공간이 지구에서 지식으로 확장.
실재하지 않지만, 잠재적이며 새로운 지평이다.
유기적 집단-가족, 파벌, 종족: 구성원간 직접소통
조직적 집단-국가,제도, 교회, 대기업: 구성원이 너무 많아 집단의 초월적 대표자를 선정 관료체제와 같은 제도를 구성
자율적 집단- 자발적 주체 형성

어떤 이슈가 사이버공간에서만 머물었다면 그것은 진정한 집단지성이라 할 수 없다. 집단을 형성하여 현실공간에 역량을 동원하게 되면서 온라인 공간에서 합의 동원을 통한 온오프라인 집합 행동에도 변화가 일어났는지 그래서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의 상호작용성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온오프라인의 오버래핑 현상-촛불시위, 미트업닷컴, 링크나우

집단지성
정보구성:개방적-holpticism
지식원동력: 동등계층간의 창발
지성의 분배: 수평적인 외부 분포형
핵심기술: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지식의 생산은 위계적 할당이 아닌 네트워크로 연결된 동등계층 간의 탈중심적인 협업peering을 통해 이루어지고 탈중심적으로 변모한 지식의 생산주체 또한 네트워크화된 개인으로 탈중심화하게 되었다.

21세기는 지식이 경제를 견인하고 경제가 지식 생산에 앞장 설 것이다. 지구상의 컴뮤터들의 상호 연결망인 사이버 공간, 가상공동체들, 거기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이미지들, 쌍방향 대화형 시뮬레이션, 대규모로 증식해 나가는 텍스트와 기호들이 인류 공동의 지적 자산의 근본적인 매개체가 될 것이다. 이제 사이버공간은 단순한 정보 제공의 통로를 넘어서 지식을 창출하고 유통하는 거대한 학습장으로 탈바꿈하고 있으며 곧 거대한 하이퍼텍스트로 재구성될 것이다.

세계적인 미래학자 제롬 글렌은 미래는 개인들의 능력이 모인 집단지성에 의해 움직이게 될 것이며 네트워크가 더욱 위력을 발휘하는 시대가 올것이라고 예견하였다. 즉 미래는 개인들의 지적 역량이 기술과 결합해 집단지성으로 발현되는 의식과 기술이 융합된 시대이며, 미래산업은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과 지혜를 모아 새로운 해결 방향을 찾아나가는 오픈소스방식과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가는 방식의 집단지성 산업을 중심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중의 지혜, 제임스 서로위키:
집단의 판단이 소수의 엘리트를 압도하기 위한 3가지 조건
1. 다양한 지식과 견해를 갖춘 이질적인 구성원들
2. 그들이 결정을 내리는 동안 서로 영향을 주고 받지 않는 독립성 확보
3. 분권화와 통합이 동시에 가능해야 함.


위키피디아: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 혹은 경쟁을 통해 얻게 되는 지적 능력에 이한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
집단지성이란 지식의 공간에서 상상적 집단들이 역동적으로 사유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실천을 말한다.

인간은 인터넷이라는 초현실적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 정보 사상을 공유하면서 배제와 소외의 문제를 해결하고 끊임없이 가상세계와 대화를 나눔으로써 인류는 가상공동체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집단지성이란무엇인가

21세기 인류의 행복은 무엇을 소유하고 소비하느냐보다는 다른 사람들과 협업해 무엇을 공유하고 창조하느냐에 달려있다.
대중으로 하여금 새로운 대중으로 거듭나게 하는 대중의 협업적 창조성을 집단지성으로 정의하고, 핵심, 기여, 관계, 협업, 창의성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지성은 개방적 혁신, 창조하는 소비자, 자발적 작업방식, 탈권위적 리더쉽, 공동소유권을 확산시킬 것이다.
또한 집단지성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이것도 다른 사회 연결 조직과 마찬가지로 집단지성 프로젝트에 속한 집단의 중심적 인력이 중요하다. 핵심인력의 역할이나 기능, 리더쉽에 대한 것이 리눅스와 위키피디아를 비롯한 대다수의 성공적인 집단지성에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성격이다.

2011년 9월 14일 수요일

미래교육의 5가지 트렌드

1. 집단지성

2. 스토리텔링

3. 소셜네트워크서비스

4. 고기능 개인용 모바일 디바이스

5. 취업과 진로에 대한 다양화/세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