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9월 23일 금요일

집단지성의 작동원리

집단지성의 작동원리는 4가지의 질문에서 출발한다.

1. Who is performing the task?

2. Why are they doing it?

3. What is being accomplished?

4. How is it being done?


집단지성의 4가지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다음과 같다.

1. Who is performing the task?

Hierarchy라는 수직적인 커뮤니케이션 그룹과 Crowd라는 수평적인 커뮤니케이션 그룹이다.

2. Why are they doing it?

(1) Money
이것은 참여자들에 대한 금전적 보상(직접/간접) 혹은 자기계발에 대한 동기부여이다.

(2) Love
사람은 돈으로만 움직이지 않는다. 참여자 개인의 일에 대한 즐거움 혹은 사람들과의 교류
그리고 대의명분을 통한 동기부여이다.

(3) Glory
참여자 자신이 속한 그룹속에서 동료로부터의 인정 또는 개인적 명예를 통한 동기부여이다.

3. What is being accomplished?
집단지성과 협업을 통해 할 수 있는 것은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특별히, 집단지성은 개인의 힘으로 도저히 할 수 없는 일들을 집단지성을 통해 풀어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 M.I.T집단지성 연구소의 연구논문들은 기상이변;이상기후에 대해 집단지성의 힘을 빌어 해결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4. How is it being done?
Create-Decide; 집단지성의 기본적인 작동원리는 창조하는 것과 결정하는 것이다.

창조는 Collection/Contest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인의 작업이 하나씩 모여 Collaboration이 되는 것이다.



추가로 Decide에는 Group Decisions과  Individual Decisions이 있다.

Group Decisions의 과정은 Voting과 Consensus 그리고 Averaging을 통해 이루어지고,

그 결과로 Prediction market이 가능하다.

Individual Decisions의 과정은 Markets과 Social Networks로 이루어진다.

Markets은 앞서 언급은 Money적 동기부여를 의미하고

Social Networks는 Love와 Glory적 동기부여를 의미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